스프링부트
- 대규모 트래픽 처리
- 각종 설정 간편화 (스프링 부트 스타터, XML 설정 필요 없음)
- 내장 톰캣
- JAR을 사용하여 자바 옵션만으로도 배포 가능
- 의존성 버전 알아서 맞춰줌
1. 세션 레디스 (Session Redis), H2 (또는 MySQL): 세션을 관리하는 NoSQL (레디스)과 기본 데이터 저장을 위한 RDB
2. 스프링 부트 웹 MVC (Spring Boot Web MVC): 기본적인 커뮤니티 페이지
3. 스프링 부트 세션 레디스 (Spring Boot Session Redis): 레디스를 사용한 세션 관리
4. 스프링 부트 시큐리티 (Spring Boot Security), 스프링 부트 OAuth2 (Spring Boot OAuth2): 커뮤니티의 회원 인증 및 권한 처리
5. 스프링 부트 데이터 레스트 (Spring Boot Date REST): REST API 만들기
6. 스프링 부트 배치 (Spring Boot Batch): 주기적으로 백엔드 작업 처리. 예를 들어 페이스북 API를 사용하여 게시판의 공유 개수를 DB에 저장
그레이들 멀티 프로젝트: 여러 프로젝트를 하나의 프로젝트처럼 사용할 수 있음. 공통 코드를 하나의 프로젝트로 분리하고 이를 재사용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소서 입사 후 포부 (0) | 2021.08.30 |
---|---|
자소서 지원동기 작성법 (0) | 2021.08.27 |
공부 (0) | 2021.03.09 |